직업적응 이론(TWA)은 개인과 환경의 불일치를 경험하는 다양한 내담자에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그중에서 롭퀴스트와 데이비스가 특별히 직업적응 이론(TWA)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다고 본 내담자의 특징 7가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직업적응 이론(TWA)에 적합한 내담자의 특징을 기술하시오.
키워드 요약 및 답안 구성
- 개요 - 직업적응 이론은 개인과 환경의 불일치를 경험하는 내담자에게 활용 가능하다.
- 롭퀴스트와 데이비스가 제시한 내담자의 특징
- 실제 자신의 능력과 직업에서 요구하는 능력 불일치.
- 내담자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환경의 요구 불일치.
- 능력과 요구는 일치. / 다른 일반적 환경의 불일치.
- 능력과 자격조건은 일치. / 욕구와 보상 불일치.
- 욕구와 보상 불일치.
- 욕구가 대리학습된 경우.
- 개인과 환경이 모두 만족.
답안 예시
직업적응 이론은 개인의 욕구와 환경의 불일치를 경험하는 다양한 내담자에게 활용이 가능하지만, 그중에서 롭퀴스트와 데이비스가 제시한 내담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자신의 능력과 직업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불일치하는 내담자이다. 즉, 내담자의 능력이 요구되는 능력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이다.
둘째, 내담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환경이 요구하는 능력이 불일치하는 경우이다. 내담자는 자신의 능력을 실제보다 높거나 낮게 지각할 수 있으며, 환경이 요구하는 요구하는 능력도 실제보다 더 높거나 낮게 지각할 수 있다.
셋째, 능력과 요구 조건은 일치하지만, 다른 일반적 환경의 불일치로 부적절한 수행을 보이는 내담자이다. 내담자가 직무를 수행할 능력은 있으나, 다른 생애 역할 때문에 과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넷째, 능력과 자격조건은 일치하지만, 욕구와 보상이 불일치하여 부적절한 수행을 보이는 내담자이다. 즉, 내담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상이 제공되지 않아 부적응 행동이 나타나는 케이스이다.
다섯째, 내담자의 욕구와 보상이 불일치하는 경우이다. 보상이 욕구보다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이에 해당한다.
여섯째, 욕구가 대리학습된 내담자이다. 즉, 평가도구로 밝혀진 욕구가 실제 개인이 욕구가 아닌 대리 학습에 의해 형성된 경우이다. 이러한 내담자들은 검사를 통해 확인한 욕구가 충족되는 직업에 종사하여도 진정한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불만족하게 된다.
일곱째, 개인과 환경이 모두 만족하지만 불만족이 있는 내담자이다. 이러한 경우 내담자는 직장이 아닌 삶의 다른 영역에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으므로, 부부관계, 일과 가정의 균형 등의 영역도 확인하여야 한다.
여기까지 데이비스와 롭퀴스트가 제시한 직업적응 이론(TWA)에 적합한 내담자의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직업적응 이론의 검사도구에 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막 일복이 터지기 직전인데요. 제 심정을 그대로 담은 그림이 있어 가져왔습니다. 어흑. 출처는 몰라서 혹시 문제 시 말씀하시면 삭제할게요.
다른 글 보기
'HR > 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2회차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정리 (22) | 2022.08.01 |
---|---|
2022년 1회차 직업상담사 2급 실기 기출문제 정리 (24) | 2022.05.12 |
[직업상담사 1급 실기] 직업적응이론의 4가지 성격유형과 2가지 적응유형 변인 (0) | 2021.10.27 |
[직업상담사 1급 실기] 직업적응이론의 6가지 주요가치 (0) | 2021.10.26 |
[직업상담사 1급] 직업적응이론의 2가지 주요 개념 (0) | 2021.10.25 |
댓글